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울시 강남구 개포동

by monokini1 2025. 3. 19.
반응형

강남구 개포동은 서울의 남쪽, 강남구의 중앙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일원동, 서쪽으로는 서초구 양재동, 남쪽으로는 구룡산과 대모산, 북쪽으로는 양재천을 경계로 하는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하는 곳입니다.

이곳은 전체적으로 평탄한 지형을 이루고 있으며 양재천을 따라 넓은 충적 평야가 펼쳐져 있어 과거엔 농업이 발달한 지역이었지만, 1970년대 이후 급격한 도시화 과정을 거쳐 현재는 현대적인 주거 단지와 편리한 교통망을 갖춘 서울의 대표적인 주거지역으로 변모 하였습니다.

 

오늘은 `개포동(開浦洞)`의 유래와 발전과정을 살펴 보겠습니다.

 

1. 개포동의 유래

개포동(開浦洞)의 지명은 본래 `개`와 `포`에서 유래 되었습니다. `개`는 강변에 형성된 넓은 들판을 의미하며, `포`는 나루터 또는 물가를 뜻합니다. 즉, 개포는 한강과 가까운 지역에 위치한 넓은 개활지이자 나루터가 있던 곳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데 양재천은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중요한 수원이었으며, 구룡산과 대모산은 주민들에게 땔감과 목재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여 주민들의 삶과 문화를 형성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합니다.

 

참고. 

*대도산은 표고 293m이며 산모양이 늙은 할미와 같다고 하여 할미산이라 불렀는데 조선 제3대 태종대왕을 반대편 세곡동에 헌릉을 조성하여 모신후 어명에 의하여 대모산으로 고쳐 불렀다고 합니다

 

*구룡산은 표고 306m이며 서울의 야경명산으로 구룡산전설에 의하면 용 9마리가 승천하다가 용1마리가 승천을 못해 인간에 필요한 물이되어 양재천이 되었다는 산으로, 제2봉 국수봉에 동굴이 있는 구룡산을 마주하고 개포2동에는 자연부락으로 학여울이 있는데 이는 한강이 이곳에 이르러 여울이 거세어져 흐르고 마을이 갯바닥에 있는 데에서 반곡이라 불렀다고 합니다

 

1-1. 개요

 

* 본래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포이동, 반곡동의 일부

* 1914년 3월 1일 :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반포리로 변경

* 1963년 1월 1일 : 성동구 언주출장소 도곡동사무소

* 1973년 7월 1일 : 성동구 영동출장소 건설

* 1975년 10월 1일 : 강남구 관할 변경

* 1982년 12월 18일 : 강남구 도곡동 개포민원분소 개소

* 1983년 1월 1일 : 강남구 개포동 분리

* 1983년 12월 1일 : 강남구 개포제2동 분동

* 1985년 9월 1일 : 강남구 개포제3동 분동

* 1989년 7월 1일 : 강남구 개포제4동 분동

* 1992년 10월 1일 : 강남구 일원동과 개포제3동의 각 일부를 합쳐 일원제2동 설치

* 2008년 1월 1일 : 강남구 조례로 포이동(법정동)을 폐지하고 개포동(법정동)에 통합

* 2009년 3월 1일 : 강남구 개포3동을 폐지하고 개포2동에 통합

* 2022년 12월 23일 : 강남구 일원2동이 개포3동으로 동명 변경

 

* 행정구역: 35통 249반(면적: 1.49㎢)

* 인구(2022년 2월 기준): 23,472명 / 10,034세대(인구밀도: 15,800명/㎢)

 

 

* 관청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 35

 바로가기: 개포1동 주민센터  https://www.gangnam.go.kr/center/main.do?office=3220057

 

강남구 주민센터 개포1동

강남구 주민센터 개포1동주민센터

www.gangnam.go.kr

 

 

* 관청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로 511

  바로가기: 개포2동 주민센터  https://www.gangnam.go.kr/center/main.do?office=3220058

 

강남구 주민센터 개포2동

강남구 주민센터 개포2동주민센터

www.gangnam.go.kr

 

* 관청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로 615(개포동 12-4) 석탑프라자 5층

  바로가기: 개포3동 주민센터  https://www.gangnam.go.kr/center/main.do?office=3220272

 

강남구 주민센터 개포3동

강남구 주민센터 개포3동주민센터

www.gangnam.go.kr

 

 

* 관청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로24길 33

  바로가기: 개포4동 주민센터  https://www.gangnam.go.kr/center/main.do?office=3220060

 

강남구 주민센터 개포4동

강남구 주민센터 개포4동주민센터

www.gangnam.go.kr

 

 

2. 개포동의 현재

1980년대 들어서면서 개포동은 서울의 강남 지역 개발의 일환으로 더욱 발전하게 됩니다. 본래는 다른 강남 지역과는 다르게 소형 평수의 저층 아파트로 구성되어 있어 강남 내에서 서민들이 주로 사는 동네 이미지가 강했지만 현재의 개포동은 재건축으로 인해 고급 주택단지와 상업시설이 들어서게 되면서 신픙 부촌으로 급부상하며 지역 경제가 활성화 되었습니다.

 

현재의 개포동은 주공 2단지를 필두로 주공단지들과 시영단지의 재개발(강남의 대표적 재건축 사업지역중 하나)이 확정되어 진행되고 있는 곳으로 2019년부터 최고 35층 짜리 고급아파트(래미안 블레스티지, 디에이치 아너힐즈, 개포 래미안포레스트, 디에이치 퍼스티어 아이파크 등 대략 4만여 세대)가 들어설 예정입니다, 또한 첨단 산업 단지와 문화 시설이 들어서면서 미래 도시로 발전하고 있는 곳으로 앞으로 더욱 발전된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올 것입니다.

 

 

2-1. 개포동 주거환경

* 개포1동

개포동에서 가장 아파트 밀집도가 높은 지역이지만 강남구의 최저소득 촌인 구룡마을도 이곳에 있습니다. 구룡마을에서 타워팰리스 쪽을 바라보고 찍은 사진은 빈부격차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진으로 유명한데, 양재대로와 구룡산이 구룡마을의 앞과 뒤를 가로막고 있어 행정구역만 강남구일 뿐 단절된 느낌을 받게 합니다

 

* 개포2동

교통에 있어서는 최고라고 불려도 과언이 아니다. 

핌피현상(PIMFY-님비현상의 반대말)

의 대표사례로 불리는 강남리 마을전철, 구룡역, 개포동역, 대모산입구역이 모두 개포2동에 위치해 있다. 그래서 개포 5단지에서 7단지는 걸어서 5분 내로도 이동이 가능하지만 각자 출발 시 이용하는 지하철역이 다르며, 심지어 같은 단지 내 주민들도 본인의 아파트와 가까운 서로 다른 출발역을 이용하기도 한다

 

* 개포3동2022년 12월 23일에 일원2동에서 개포3동으로 행정동명이 변경되었다동 전체가 아파트와 아파트 상가로 이루어여 있는데 법정동 개포동과 일원동, 대치동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강남구를 관할하는 총괄우체국과 서울특별시의 주택문제를 총활하는 서울주택공사(SH공사)가 개포로 연선에 위치해 있다.

 

* 개포4동북쪽으로 양재천과 직접 맞닿아 있어 봄 벚꽃과 가을 낙엽시기에는 꽤 장관을 이루며 사시사철 사람과 강아지들의 산책과 조깅이 이어지는 곳으로 밀미리 다리 위에 서면 서초구와 송파구까지 양쪽으로 이어지는 양재천의 모습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양재천 징검다리를 건너면 양재천 카페거리로 연결되어 인근 주택가 주민과 삼호물산(현 동원산업) 부근 상업지구 직장인들이 근처 카페나 브런치 레스토랑에서 시간을 보내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2-2 대치동의 명소, 가볼만한 곳

 

* 개포근린공원: 산책로와 운동시설이 잘 갖춰져 있어 가족 단위 방문객들에거 적합한 장소

* 구룡산: 하이킹과 자연을 즐기기 좋은 장소. 등산로가 잘 정비되어 있어 초보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 대모산: 조선시대 태종의 능인 헌릉을 보호하기 위해 조성된 산으로 울창한 숲과 다양한 문화유적을 간직하고 있음          * 양재천: 맑은 물이 흐르는 양재천은 개포동 주민들의 휴식공간이자, 다양한 생태 자원을 관찰할 수 있는 곳.     

양재천

       

* 강남개포시장: 다양한 먹거리와 볼거리가 가득한 전통시장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신선한 재료와 맛있는 음식을 즐길 수 있음

 

이외에도  한정식, 해산물, 한우 등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맛볼 수 있는 맛집과 문화시설들이 있으니 개포동을 방문하여 즐거운 시간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